대학생, 회사원 같은 분들이 프레젠테이션 할때 자주 쓰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파워포인트'에 대해서 다들 알고 계실꺼에요. 저도 어렸을때 이를 통해 발표를 하곤 했는데요. 이때 집에서 파워포인트 작업을 하고 나서, 다른 PC에서 이를 발표하고 싶은데, 그 PC 내에 파워포인트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땐 이를 '전용 뷰어'를 통해서 봐야 되는데요. 이때 이런 파워포인트 뷰어를 어떻게 받고 활용하는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관련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파워포인트 뷰어 같은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공식적으로 전용 뷰어를 지원했는데 2018년 이후로 이것의 공식 지원이 끊켜서 다른 방법으로 파일을 봐야 됩니다. 오늘은 이것 대신 이용할 수 있는 '한컴오피스 뷰어'를 받는 법을 알아보도록 할께요. 이 프로그램은, 원래 '한글 파일'을 볼 수 있는 뷰어지만, 경우에 따라서 파워포인트 확장자 역시 볼 수가 있더라구요. 이는 한글과컴퓨터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이곳을 들어온 다음에, 초기 화면에서 '다운로드센터'라고 써진 부분을 클릭해보세요.
그리고 나면, 다음 페이지에 이렇게 3가지 종류의 프로그램이 보일꺼에요. 이때 저흰 여기서 '뷰어'를 보고 싶은 것이기 때문에, 맨 왼쪽에 있는 '한컴오피스 2022 뷰어' 부분을 보면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일반 사용자인 경우에는 아래에 있는 '일반용' 부분을 클릭해보세요.
그럼 새 창이 뜨면서 관련 설치 파일을 받게 될 꺼에요. 이를 받고 초반에 실행하게 되면, 이런 식에 '사용권 조항' 화면이 보이게 됩니다. 여기에 있는 내용을 읽은 다음에 아래에 있는 '동의함' 버튼을 클릭하면, 그 옆에 있는 '다음' 버튼이 활성화 되면서 설치를 계속 이어갈 수 있어요.
그리고 다음 페이지에 보면, 이렇게 이 뷰어를 통해 열 파일의 형식을 정하는데, 여기서 기본으로는 '한글(hwp)파일'이 체크되어 있지만, 이것 말고 저희는 아래에 있는 부분을 봐야 됩니다. 여기서 '파워포인트'라고 써 있는 것을 클릭하고 설치를 계속 하시길 바래요.
그 다음엔 설치가 시작 되고, 다 끝나면 이런 식에 설정창이 보이게 됩니다. 이때 여기서 위에 있는 '기본값으로 설정'을 누르면 별다른 추가 설정을 하지 않고 끝나며, 아래에 있는 '사용자 설정' 버튼을 클릭하면, 추가적으로 몇가지 사항들을 더 설정하게 되요. 저는 그냥 위에 있는 것을 눌러봤습니다.
맨 마지막엔 이렇게 '재시작'을 하겠냐는 설정 창이 나오게 됩니다. 이때 재시작을 해야 대부분의 기능을 제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에 있는 '예' 버튼을 눌러서 재시작을 해보시길 바래요.
재시작을 하고 나면, 이 다음부터 가지고 있는 파워포인트 확장자를 실행해도 이 프로그램과 자동으로 연동이 되어서 실행이 될 꺼에요. 하지만 이것 말고 직접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확장자를 불러오는 방법도 있는데요. 바탕화면 혹은 시작 프로그램에 '한컴오피스 뷰어' 아이콘을 찾아 실행하면, 이런 식에 기본 화면이 보이게 되요. 여기서 아래쪽에 있는 '파일 형식' 부분에서 '프레젠테이션 문서'를 선택하고 가지고 있는 ppt 파일을 열어보시길 바랍니다.
이를 바탕으로 해서 저도 임의로 pptx 파일을 한번 가져와봤어요. 보면 이렇게 '바로' 프레젠테이션 전용 화면으로 내용이 보이게 됩니다. 여기서 빈 화면에 마우스 우 클릭을 하면, 슬라이드를 다음으로 넘기거나, 펜 혹은 포인터 설정을 상황에 맞게 할 수 있어요.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