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룸이나 일반 아파트에 사는 분들은 달마다 나오는 전기요금을 생각하게 됩니다. 그때, 이게 본인이 예상한 것보다 더 많이 나오거나, 적게 나올때도 있고 혹은 전기요금이 어떤식으로 나올까 생각할때도 있어요. 특히 여름에 에어컨을 많이 틀거나 혹은 겨울에 전기장판 같은 것을 24시간 틀어놓는 집이라면 이를 더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이때, 이런 전기요금을 계산하거나, 요금을 확인해보고 싶은 분들을 위해 한전에서 이를 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맨 하단을 참고하시면, 한전 전기요금 조회 및 계산기 사이트를 확인할 수 있어요.




    이는 한전 사이버지점 홈페이지(바로가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곳으로 들어오면 전기 관련된 다양한 메뉴들이 있을꺼에요. 먼저 여기서 전기요금 계산을 하고 싶다면, 초기 메뉴에서 '요금계산,비교'를 클릭해보세요.







    그럼 새 창이 뜨면서, 전기요금 계산기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이를 통해 일반 주택용 (저압, 고압) 그리고 교육용, 산업용, 가로등 등에 대한 요금을 확인할 수 있다고 하네요. 기타 계산 방법을 파악하고 아래에 있는 바로가기를 눌러보세요.




    그 뒤에 다음 페이지에서 계약종별을 선택하는데, 이때 기본 가정집에 있는 전기를 확인하는 경우에는 '주택용(저압), 주택용(고압)' 중에 하나를 보는 경우가 많아요. 이 둘중에 하나를 클릭하면, 구체적 조건을 선택하게 됩니다.


    먼저 주거구분을 하고, 3자녀 이상 혹은 5인 이상 가구이거나 출산 가구 여부 등을 파악하고, 복지할인요금 여부를 체크해보세요. 그리고 사용기간, 마지막으로 계량기에 나온 구체적인 사용량을 적으면 아래와 오른쪽에 계산 결과가 나올꺼에요.




    저는 임의로 400kWh를 사용했다고 가정을 해봤는데, 대략 6만4천원 정도가 나온다고 하네요. 이는 상황에 맞게 조금씩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구체적으로 요금 조회는 어떤식으로 하는걸까요? 이는 앞에서 봤던 초기 화면에서 '우리집 전기요금 미리보기' 버튼을 누르면 알 수 있습니다.







    이 다음에는 앞에서 봤던 새 창이 뜨면서, 일반 주택 혹은 고압 아파트의 '고객번호'를 적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때, 이 번호를 잘 모른다면, 아래에 있는 확인 버튼을 클릭해보세요.




    그리고 크게 4가지 정보가 나오는데, 이 중에서 고객정보로 조회 혹은, 고압 아파트/ 오피스텔의 경우 주소를 직접 적어서 고객번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다시 이전 화면으로 돌아가, 고객번호를 적고 조회를 누르면 결과가 나올꺼에요.



    그럼 지금부터 한전 전기요금 계산기 사이트 링크를 걸어드리겠습니다.


    *한전 사이버지점(조회, 계산기 사이트)
    https://cyber.kepco.co.kr/ckepco/indexnfl.jsp

     

    사이버지점 메인

     

    cyber.kepco.co.kr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