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인 분들에 있어서 한번쯤은 보게 되는 군적금이라고 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 같은 경우 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적금 이자보다 높아서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지는 것 같습니다. 이는 크게 일반 병사용과 함께 간부용으로 구분이 되는데요. 이때 이것들의 종류는 대략 어떻게 되는지, 그에 따라 어떤 준비물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군적금 준비물
(병사용 기준으로) 이는 현재 다음과 같은 은행에서 가입을 하는게 가능합니다. 수협, 국민, 기업, NH농협, 신한, 하나, 대구 은행이며 각각 상품의 이름은 조금씩 다른 형태로 된다고 볼 수 있는데요. 이때 기본적인 몇가지 조건들이 있습니다.
이는 현역을 비롯해서 그에 준하는 급여를 따로 받는 자가 가입을 할 수 있으며, 잔여복무기간은 6개월 이상 남아있어야 된다고 합니다. 또한 기간은 6개월에서 의무복무 기간 내로만 설정을 할 수 있으며, 납입 한도는 은행별로 20만원, 개인당으로는 최대 40만원까지 가능합니다.
그리고 기본 금리는 5% 내외이며, 비과세를 비롯해 재정지원금 1%가 있는게 일반적인 혜택입니다. 보면 연이율은 확실히 일반적인 적금보단 높지만, 아쉽게도 납입 한도가 고정 되어 있어서 일반 예금보다는 확실히 목돈이지만, 어느정도 금액이 정해져 있을꺼 같네요.
상품 정보 찾기를 해보고 싶다면 본인이 사용하는 은행 홈페이지 내에 '장병내일준비적금'이라고 검색을 하면 됩니다. 저는 농협 기준으로 해봤는데요. 이곳(바로가기)에서 봐도 알겠지만, 이를 바탕으로 대략적인 금액을 계산 해볼수 있습니다.
군적금 중도해지
또 경우에 따라 이를 해지 시켜야 할때도 있습니다. 보면 이에 따라 중도해지 기준 금리가 정해지게 됩니다. 이는 1개월 미만부터 시작해서 24시개월 미만까지 구분이 되어져 있으니 참고 해보시길 바랍니다. (이는 은행별로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를 어떤 분들이 지급 받을 수 있는지 보면, 기본적으로 현역병부터 시작해서, 의무경찰 혹은 해양의무경찰이나 소방원 그리고 사회복무요원 역시도 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각자 발급처가 조금씩 다를 수도 있어요. 또한 이에 따라서 확인서 등의 원본을 제출해야 하는게 있네요.
최근댓글